서포트하는 선수가 없습니다.선수들을 서포트 해보세요!
부산권의 대표 강자
야구를 좋아하는 사람이 특히 많은 도시를 지칭하는 단어 ‘구도(球都)’. 열정의 팀 롯데 자이언츠가 40년째 자리하고 있는 부산을 대표하는 수식어기도 하다. 하지만 여기 롯데 이전부터 부산의 자랑이었던 팀이 있으니, 지방 대학 최초로 야구부를 창단하며 ‘구도 부산’의 태동을 이끌어온 명문 동아대학교다. 하지만 현재는 과거의 명성을 쉽게 찾아보긴 어려운 실정이다. 옛날과 비교하면 부족한 우승 횟수, 뜸해진 슈퍼스타의 등장으로 아쉬운 행보가 이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2022 신인 드래프트에서 최다 지명자 배출 대학으로 당당히 이름을 내건 동아대. 지난해 놀라운 성과를 이뤄낸 그들의 이야기를 만나보자.
에디터 김진석 사진 @_____m.way KUBF(한국대학야구연맹), KT 위즈, 롯데 자이언츠, 키움 히어로즈, LG 트윈스
#역사의 시작을 함께한 팀
부산 지역을 대표하는 명문 동아대 야구부는 1948년 4월 창단해 약 70년의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70년의 역사 속 전국대회 36회 우승과 22회 준우승이라는 대기록은 그들이 왜 명문으로 불리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특히 1954년 제1회 대한학생야구대회 초대 우승과 더불어 전국체육대회 3연속 우승을 일궈내며 대학야구 초창기 최강의 명성을 가진 팀으로 군림했다.
긴 영광의 역사와 함께 많은 스타 또한 탄생시켰다. 빙그레 이글스 다이너마이트 타선의 핵심 멤버였던 이정훈, OB 베어스의 암흑기를 지탱한 에이스로서 두산 베어스의 감독까지 역임한 김진욱 등 KBO리그 초창기를 이끈 선수를 다수 배출했다. 그뿐만 아니라 같은 연고지의 프로팀 롯데에서 두각을 나타낸 박현승과 이인구, NC 다이노스의 첫 우승을 이끌며 새로운 명장으로 거듭나고 있는 이동욱 감독 등 KBO리그 역사에서 동아대 출신의 발자취를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현재 동아대를 이끄는 수장은 이재헌 감독이다. 2012년부터 사령탑을 역임하고 있는 이 감독은 2010년 코치로 부임한 것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줄곧 동아대에서 지도자 생활을 이어왔다. 2010년대 중반까지 지역 라이벌 경성대와 동의대에 밀려 주춤했던 동아대지만, 이 감독 부임 이후 2016년 대한야구협회장배 전국대학야구대회와 2018년 제99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우승하며 과거의 위상을 되찾아가고 있다. 더불어 작년에는 2022 신인 드래프트에서 대학 중 최다인 3명의 지명자를 배출함으로써 성적은 물론 육성에서까지 돋보이는 성과를 내고 있다.
#동아대의 자랑들
2000년대로 들어와 대학야구는 이렇다 할 스타플레이어가 나오지 않으면서 침체기를 겪고 있다. 동아대 역시 슈퍼스타라고 지칭할 만한 인물이 등장한 지 꽤 오랜 시간이 흘렀다. 한동안 이정훈, 김진욱과 같은 거물급 선수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야구는 빛나는 슈퍼스타 외에도 묵묵히 자신의 임무를 수행하는 이들의 헌신 또한 필요한 스포츠가 아닌가. KBO리그에서 화려한 존재감을 뽐내진 않더라도 각자의 개성으로 팀을 빛내고 있는 동아대 출신 현역 선수들을 소개한다.
1. 신본기
출생 1989.03.21 신체조건 179cm/88kg 학번 08학번 소속팀 KT 위즈 포지션 내야수 투타 우투우타
2021시즌 성적
경기 |
타율 |
타수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출루율 |
장타율 |
OPS |
96 |
.237 |
173 |
41 |
1 |
19 |
25 |
.335 |
.301 |
.636 |
이전 3시즌 성적
시즌 |
경기 |
타율 |
타수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출루율 |
장타율 |
OPS |
2020 |
81 |
.217 |
106 |
23 |
2 |
12 |
18 |
.312 |
.283 |
.595 |
2019 |
121 |
.256 |
375 |
96 |
1 |
26 |
43 |
.314 |
.288 |
.602 |
2018 |
139 |
.294 |
425 |
125 |
11 |
71 |
55 |
.357 |
.442 |
.799 |
처음 만나볼 이는 지난 시즌 KT 위즈의 우승 멤버 신본기다. 내야 전 포지션을 소화 가능한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기본기’라는 별명에서 알 수 있듯이 탄탄한 기초를 바탕으로 준수한 수비력을 보인다. 평소 틈틈이 각종 선행과 봉사를 펼치며 팬들에게 ‘엔젤본기’, ‘근본기’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2021년 트레이드를 통해 데뷔 때부터 몸담았던 롯데를 떠나 KT로 이적했다. 팀을 옮긴 직후 개인 통산 첫 우승 반지를 끼게 됐으며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 홈런을 치는 등 번뜩이는 활약을 보였다.
2. 최영환
출생 1992.02.20 신체조건 179cm/92kg 학번 10학번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2021시즌 성적
평균자책점 |
WHIP |
경기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이닝 |
사사구 |
탈삼진 |
6.20 |
1.70 |
20 |
1 |
2 |
0 |
0 |
40.2 |
26 |
28 |
이전 3시즌 성적
시즌 |
평균자책점 |
WHIP |
경기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이닝 |
사사구 |
탈삼진 |
2020 |
6.30 |
2.20 |
6 |
0 |
1 |
0 |
0 |
10 |
4 |
7 |
2019 |
6.63 |
1.53 |
15 |
0 |
0 |
0 |
0 |
19 |
10 |
19 |
2015 |
0.00 |
3.00 |
1 |
0 |
0 |
0 |
0 |
1.1 |
2 |
1 |
평균 구속 143~145km/h 정도의 패스트볼을 구사하는 최영환은 서드 피치인 커브의 움직임이 독특한 투수다. 소속팀 롯데의 성민규 단장이 “MLB에서도 이와 같은 커브 움직임을 본 적이 없다”라고 말했을 정도. 테이크백이 짧은 특이한 투구폼으로 타자들의 타이밍을 뺏을 수 있는 장점도 가졌다. 데뷔 시즌 이후 많은 출전기회를 확보하진 못하고 있지만, 본인만의 강점이 있는 만큼 앞으로의 반등 가능성은 충분하다. 오승환과 플레이 스타일과 체격 등에서 비슷한 점들이 있으며, 본인도 오승환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3. 전병우
출생 1992.10.24 신체조건 182cm/90kg 학번 11학번 소속팀 키움 히어로즈 포지션 내야수 투타 우투우타
2021시즌 성적
경기 |
타율 |
타수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출루율 |
장타율 |
OPS |
114 |
.188 |
213 |
40 |
6 |
31 |
35 |
.320 |
.310 |
.630 |
이전 3시즌 성적
시즌 |
경기 |
타율 |
타수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출루율 |
장타율 |
OPS |
2020 |
119 |
.237 |
359 |
85 |
8 |
48 |
46 |
.310 |
.357 |
.667 |
2019 |
28 |
.100 |
50 |
5 |
0 |
0 |
2 |
.151 |
.120 |
.271 |
2018 |
27 |
.364 |
60 |
24 |
3 |
13 |
18 |
.442 |
.606 |
1.048 |
내야 유틸리티 플레이어인 전병우는 어느 포지션에 출장해도 대부분 제 몫 이상을 해주는 선수다. 유연한 포구와 함께 빠르게 1루로 던질 수 있는 안정적인 송구 능력도 갖추고 있다. 이처럼 유려한 수비 능력으로 엔트리 기용 폭을 넓혀주고, 경기 후반에 유연한 전략적 대처를 가능하게 하는 자원이다. 과거 몸담았던 롯데의 전준우와 이름이 같은 것 외에도 호타준족 스타일이 비슷해 ‘작트란’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기도 하다.
4. 이정용
출생 1996.03.26 신체조건 186cm/85kg 학번 15학번 소속팀 LG 트윈스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좌타
2021시즌 성적
평균자책점 |
WHIP |
경기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이닝 |
사사구 |
탈삼진 |
2.97 |
1.12 |
66 |
3 |
3 |
15 |
0 |
69.2 |
24 |
74 |
이전 1시즌 성적
시즌 |
평균자책점 |
WHIP |
경기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이닝 |
사사구 |
탈삼진 |
2020 |
3.71 |
1.35 |
34 |
3 |
0 |
4 |
0 |
34 |
16 |
33 |
2019 신인 드래프트에서 1차 지명으로 LG에 입단해, 쌍둥이 군단의 핵심 불펜으로 떠오른 이정용도 빠질 수 없다. 우완 정통파로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스플리터, 커브 등을 구사하며 뛰어난 구위를 보여주는 투수다. 비록 입단하자마자 팔꿈치 수술을 받으며 시즌 아웃이 되는 불운을 겪었지만, 2020년 데뷔 이후 필승조로 활약하며 본인이 대졸 1차 지명자인 이유를 유감없이 증명해냈다. 데뷔 2년 차인 지난해는 수술의 여파를 털어내고 더욱 강력해진 구위와 빠른 볼을 선보였으며, 특히 낙폭이 큰 커브의 완성도를 크게 끌어올려 많은 타자를 돌려세웠다.
#이재헌 감독과의 일문일답
동아대에서 오랫동안 지도자 생활을 이어오고 있다. 처음 시작하게 된 계기와 소감은?
2010년 동아대에서 처음 코치 생활을 하게 됐다. 4년간 선수로 활동했던 모교에서 지도자로서 야구 인생을 이어가게 돼 감회가 새로웠다. 오랜 기간 모교에서 제자들을 양성할 수 있어 자랑스럽다.
동아대에서 다년간 이어온 지도 철학이 궁금하다.
졸업 후 모두가 프로에 진출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다. 그러므로 제자들이 어디서든 사회의 일원으로서 제 역할을 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성실함과 끈기를 심어주려 한다. 또 바른 인성을 가진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게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훈련 시 중점적으로 보는 포인트가 있다면?
선수들이 얼마나 진지하게 훈련에 참여하고 있으며 매 순간 얼마나 최선을 다하고 있는진 자세히 보면 다 느껴지더라. 기술적인 부분은 코치들이 잘 지도하고 있으니, 전술적인 코칭에 신경 쓰는 동시에 간절함과 같은 진지한 태도에 중점을 두고 관찰한다.
타 야구부와 비교해 동아대 야구부만의 강점이 있나.
다른 팀과 비교해서라기보단, 훈련을 종료하고도 삼삼오오 아니면 혼자라도 나가서 자율적으로 훈련하는 분위기가 우리의 큰 강점이다. 감독으로서 대견하기도 하다.
동아대의 강점이 작년 드래프트에서 발현된 것 같다. 대학 중 최다 인원을 배출하는 쾌거를 이뤄냈는데, 조금 늦었지만 소감이 궁금하다.
요즘 프로의 벽이 높은데 3명이나 발탁될 수 있었던 건 제자들이 꾸준히, 또 성실히 훈련한 결과다. 매 경기 열정적이고 진지한 태도가 프로 구단들에도 어떠한 인상을 심어주지 않았을까 싶다. (이번에 지명된 제자들의 강점을 소개해달라.) 삼성 라이온즈 김재혁, NC 오승택, 키움 이세호 3명 모두 빠른 발이 무기다. 프로에서도 강점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지난 12월, 지명된 세 선수가 모교에 야구부 발전기금을 기부했다. 새로운 도전을 이어갈 제자들에게 응원 한마디 부탁한다.
우리 학교 출신들은 프로에 입단하면 꼭 후배양성을 위해 발전기금을 낸다. 그 덕분에 다들 넉넉한 지원을 받으며 부족하지 않게 훈련하고 있다. 이번에도 잊지 않고 후배들을 생각해 줘서 고맙고, 너희는 아프지만 않으면 어디서든 인정받으며 오래 활동할 수 있는 선수들이다. 나와 코치진 모두 앞으로도 지지하고 응원해줄 터니 힘내자!
KUSF 대학야구 U-리그를 시작으로 2022시즌이 시작할 예정이다. 새 시즌에 앞서 어떤 점을 중점적으로 보강했는지 궁금하다.
우수한 야수가 여럿 졸업한 만큼, 수비 강화에 중점을 두고 훈련해왔다.
올해 동아대에 주목해볼 만한 이가 있나.
많은 선수가 있지만, 4학년 백승우와 성준민을 가장 먼저 뽑을 수 있겠다. 흔히들 “좌완 강속구 투수는 지옥에서도 데려온다”라고 하는데, 거기에 딱 맞는 이들이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얼리 드래프트 제도에 대한 의견은 어떤가.
대다수 학생의 최종 목표는 프로 입단이다. 이들이 일찍 드래프트에 참여할 수 있는 만큼 노력의 결실도 빠르게 볼 수 있으니 동기부여가 될 거다. 하지만 지명을 받지 못한 선수들의 경우 기대가 컸던 만큼 실망도 클 거고, 남은 시즌을 치를 원동력을 잃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또, 학교로서는 우수한 자원들이 빨리 빠져나가기 때문에 이후 시즌을 이끌어가기 힘들어질 거다. 여러 가지 장단점이 있는 제도라고 생각한다.
끝으로 시즌을 맞이하는 각오가 궁금하다.
당연히 목표는 전국대회 우승이다. 그리고 또다시 대학야구팀 중 최고의 취업 성과를 달성하는 학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더그아웃 매거진 132호 표지
위 기사는 더그아웃 매거진 2022년 132호 (4월 호)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www.dugoutmz.com